총본부소개

시도본부

주요사업

유도회소식

유도회활동

참여·소통

자료공간

기관소개
|
인사말
|
조직안내
|
찾아오시는길
 연혁 총본부소개 > 기관소개 > 연혁

연혁

헌장

윤리선언문

상징

유도회 연혁
역대회장
김창숙 연보
1945년 8.15 광복 후 같은 해 11월 30일 전국유림대회가 개최되었다. 서울 성균관(成均館) 명륜당(明倫堂)에서 전국의 유림 천여 명이 참집한 전국유림대회는 6일 동안 열렸다. 이 대회에서는 민족고유문화의 근간인 도의의 혁신과 향상, 성균관대학(成均節大學)의 설치 이를 위한 재단의 구성 등을 결의하였다.

1946년 1월 19일에 열린 전국유림통일대회에서는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 조선을 원조 한다 함은 감사하나 조선의 독립을 승인하고 국교적인 원조를 해주기를 원한다"는 건의서를 미 · 소 · 영 · 중 4개국에 보내기로 결의하였다. 같은해 2월 10일에는 오랫동안 분립되어오던 유도회 간부회의를 성균관에서 개최하고 의견의 일치를 보아, 3월 13일 전국유림대표자대회를 열어 유도회의 조직을 개정키로 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서 마침내 3월 13일 전국 유림 2,500여명이 성균관 명륜당에서 열린 유도회 창립총회에서 김창숙(金昌淑)을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김창숙은 유교대학 설립에 필요한 재단 구성에 역량을 집중하여 우선 성균관대학 기성회 결성을 하여 독지가인 이석구씨로부터 재단법인 학린사의 재산(토지)을 희사 받았다. 재단법인 선린회와 명륜전문학교 재단을 통합하여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을 구성하였으며, 1946년 9월 25일 문교부(미군정청)로부터 성균관대학의 설립을 정식으로 인가 받았다. 김창숙 선생은 성균관대학을 종합대학으로 승격시키기 위해 전국에 흩어져있는 향교재단을 규합하고 재산을 새로 기부 받아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을 강화하여, 문교부에 종합대학 승격을 신청하여 1956년 2월6일에 인가를 받게 되었다.

1956년에 재단의 기본재산에 대한 부정처리 문제와 성균관대학교 총장의 교체 문제를 둘러싸고 마찰과 갈등이 일어나 이것을 수습하기 위하여 같은 해 2월 21일에 유도회총본부 임시중앙위원회를 소집하고 이우세(李佑世)를 위원장으로 하는 5인 수습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유도회전국대회를 소집할 때까지 유도회를 비롯하여 재단 · 대학교 · 성균관에 대한 모든 수습대책을 위임하였다. 그러나 유도회 내부의 대립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었고, 법통을 가리기 위한 소송사건도 연이어 제기되었다. 이러한 법통문제를 둘러싸고 분쟁과 소송 사건이 이어지다가 1961년 군사정권의 포고령 제6호로 유도회총본부가 해체되어 그 활동이 정지되고 말았다.

그리하여 유도회는 법적으로 완전히 공백상태가 되었으나 1964년 5월 10일 전국 향교 대표자대회를 개최하고 그동안의 유도회 분규 종식과 500만 유림의 총 단결로 유도회의 재건을 다짐하고 그 실현을 위한 전국 대표자대회의 소집을 성균관장단과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단에 위임하였는데, 성균관장단과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회에서는 유도회 수습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이후 1970년에 전국대표자대회에서 이가원(李家源)을 유도회 총본부 위원장으로 선임하고 조직을 완료함으로써 재단법인 성균관 그리고 성균관과 함께 삼위일체 체제를 이루는 유도회가 재건되었으며, 1994년에는 유도회 정관을 개정하여 총본부 위원장의 명칭을 회장으로 변경하였다.

그 이후 여러 차례 분규와 소송을 진행하면서 혼란을 겪었으나 마침내 2022년 6월 새롭게 출범하게 되었고, 시대에 맞는 유교를 만들기 위해 거듭 노력하고 있다.